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군인 경력, 미국 그리고 6.25 한국 전쟁
위드원 티스토리 주소 : https://pwj55000.tistory.com
Ⅰ. 더글러스 맥아더의 간략한 설명
- 맥아더 장군은 1880년 01월 26일 출생하였고
- 1964년 04월 05일, 한국 나이로 85세에 서거하신
- 미국의 군인, 정치인, 외교관, 사회운동가입니다.
- 미국 육군사관학교와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를 거쳐서
- 미국지휘참모대학교를 졸업하였습니다.
- 세계 제1차, 2차 전쟁을 겪었고, 한국전쟁에서
- 인천상륙작전을 계획하고 지휘한 인물입니다.
Ⅱ. 맥아더 장군의 주요 활동 사항
1. 제1차, 제2차 세계대전, 한국전쟁의 연합군 지휘관.
- 제1차, 제2차 세계대전, 한국전쟁의 지휘관으로 활동합니다.
- 필리핀 식민지의 통치자였으며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는
- 미국 극동군의 지휘관을 지냅니다.
2. 1937년 퇴역 후
- 1937년 필리핀 명예 육군 대장으로 추대가 되었다가
- 1941년 미국 육군 대장으로 복귀한 후 1944년 미국 육군 원수로 진급합니다.
3. 제2차세계대전의 종결 후
- 일본의 항복 후 일본에 주둔해 있다가 한국전쟁을 지휘합니다.
4. 한국전쟁의 발발
- 한국전쟁 당시에 미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였으며
- 인민군이 부산만을 남겨놓고 혈전을 벌이고 있었을 때
-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켜서 인민군들을 남-북으로 양분함으로써
위드원 티스토리 주소 : https://pwj55000.tistory.com
- 한국전쟁을 새로운 양상으로 변경시키는 데 성공을 합니다.
- 1945년 ~ 1951년 까지 일본군 점령사령부 원수로 지냈습니다.
Ⅲ. 맥아더와 가정환경
- 1880년 01월 26일 아칸소주 리틀콕의 병영에서 스코틀랜드 출신
- 이민자인 군인 집안의 아들로 태어납니다.
- 미국 뉴욕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내고서
- 청소년기는 미국 뉴욕주 뉴욕시에서 성장을 합니다.
- 위로 두 명의 형님들이 있었는데
- 첫째는 아서 맥아더3세(1876 ~ 1923), 둘째는 밀컴 맥아더(1878 ~ 1883)입니다.
- 아버지 아서 맥아더 2세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서
- 맥아더에게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.
Ⅳ. 미국의 식민지 정책 = 제국주의
- 미국은 남북전쟁 완료로 국가를 통합하고서
- 1890년대에 중남미,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식민지를 넓히면서 제국주의에 뛰어듭니다.
- 19세기 유럽 = 영국, 프랑스, 독일, 벨기에, 이탈이아 등
- 일본, 미국은 자본주의가 성장하면서 자본가들이 식민지로
- 시장을 확장해 가면서 넓혀갑니다.
-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로 삼는 것.
- 미국 – 일본의 태프트 – 가쓰라 협정
- 영국 – 일본의 영일 동맹
- 미국 = 괌, 필리핀 통치, 독립국인 하와이의 편입 등이 그 예입니다.
Ⅴ. 맥아더의 아버지 아서 맥아더2세
- 맥아더의 아버지 아서 맥아더2세는 미군 장교로서
- 미국 – 스페인 전쟁과 미국 – 필리핀 전쟁에 참전하였고
- 1900년 미국이 필리핀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뒤에는
- 점령하고 있던 필리핀의 군정 총독으로 재직한 바가 있습니다.
Ⅵ. 맥아더의 어머니 메리 하디 맥아더
- 맥아더의 어머니 메리 하디 맥아더는 자신의 사생할을 포기하면서 까지
- 아들의 교육에 매달렸는데요
- 맥아더가 웨스트포인트에 진학했을 때에는 웨스트포인트 근처에
- 방을 얻어서 숙식하면서 아들을 뒷바라지 합니다.
Ⅶ. 맥아더와 사관학교 그리고 이후
- 웨스트포인트 4년 동안 맥아더는 역대 최고의 점수인
- 평균 98점대의 성적을 유지합니다.
위드원 티스토리 주소 : https://pwj55000.tistory.com
- 맥아더는 웨스트포인트를 나오고 나서 포병학교와 육군대학을 거쳐서
- 지휘참모대학을 졸업했고, 운동을 좋아해서 교내 야구 수로 활동도 했습니다.
Ⅷ. 맥아더와 세계 대전
1. 1차세계대전의 참전과 전역
-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맥아더는 제42사단 참모장이자
- 대령이었던 그는 프랑스로 파병하여 복무를 하였으며
- 제42사단에서 근무 시 육군 준장으로 승진하여
- 프랑스 주둔군 84보병 여단장, 42사단 임시 사단장으로 복무하였으며
- 미군 최연소 사단장이었습니다.
2. 1919년 = 웨스트포인트 교장 이후
- 1차 세계대전 종전이 되고나서 1925년 최연소 육군 소장으로 진급
- 1930년 = 후버 대통령 때에는 미국 13대 육군 참모총장이 됩니다.
- 1935년 = 루스벨트 대통령 초기에 육군참모총장 임기 만료.
- 1935 ~ 1937년 = 필리핀 정부 최고 군사 고문 역임.
- 1937년 = 전역 = 필리핀 육군 원수가 됨.
3. 현역 복귀와 제2차 세계대전
- 1941년 07월 = 제2차 세계대전 중 예비역에서 소집이 되어서 다시 현역으로 복귀
- 필리핀 주재 미국 극동군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
- 1942년 03월 = 서남 태평양 방면 연합군 총사령관
- 1944년 원수로 승진이 됩니다.
4. 일본과의 태평양 전쟁 = 제2차 세계대전 종료.
- 일본과의 태평양 전쟁에서 섬 건너뛰기 전술 = Island Hopping로 전세를 역전시키고
- 1945년 일본군을 격파하고 필리핀에 상륙합니다.
- 1945년 08월 30일 = 일본 점령 연합군 최고사령관 자격으로 일본에 상륙합니다.
Ⅸ. 대한민국의 미군정
- 1945.09.02. = 조선에는 미군 태평양사령부 예하 미육군 제24군단을 파견하여
- 중장 존 리드 하지를 대리인으로 임명하고 조선 민중에 대한 포고문 제1호를 발표합니다.
- 대한민국은 맥아더 지휘하에 들어갑니다.
Ⅹ. 한국전쟁 발발과 그 전게 과정
1. 인천상륙작전
- 1950.06.29. = 전쟁 발발 후, 4일 뒤 맥아더는 한강 방어선을 시찰합니다.
- 1950.08.28. = 인천상륙작전 승인을 얻어냅니다.
위드원 티스토리 주소 : https://pwj55000.tistory.com
- 1950.09.15. 인천상륙작전 개시
- 함정 206척, 장병 70,000여 명 투입
2. 서울 수복 후 북진
- 1950년 09월 28일 서울을 수복하고 북진을 합니다.
3. 맥아더의 만주 폭격 주장
- 1951. 03.10. = 맥아더는 12차 전선 시찰을 마치고 나서 성명을 발표합니다.
- 그것은 다름 아닌 중국 땅인 만주를 폭격하자는 것입니다.
- 그래야 한국을 통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4. 1951.04.19. 오전 = 맥아더 = 미국 상-하양원 합동회의에서
- 침략자 중공을 응징하자. 라는 소신을 피력합니다.
- 한국전쟁을 조속히 종결시키려면
1) 압록강 피안의 적 보급기지를 폭격하고
2) 중공에 대한 경제 봉쇠를 실시하고
3) 미 해군으로 중공 본토의 연안을 봉쇄하고
4) 공군으로 중공 본토를 공격하고
5) 타이완에 있는 국부군에 가해진 제한을 없애야 합니다.
Ⅺ. 미국 대통령 트루먼과의 불화와 해임.
- 한국전쟁에서의 독단적인 행동에 대한 당시 미국 대통령인
- 해리 에스 트루먼의 불신으로 인하여
- 한국전쟁 후 미국에서 매카시스트 = 극단적 반공주의인 매커니즘 추종자로 낙인이 찍힙니다.
-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정규군 = 중국인민해방군의 개입
- 여기에다가 만주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자. 라고 주장을 하고
- 대만으로 도망간 장제스를 지원하여 공산당을 뿌리 뽑자고 주장합니다.
Ⅻ. 맥아더의 해임 그리고 서거
- 1951.04.11. =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맥아더 장군을
- 연합국최고사령관 = 유엔군총사령관 = 극동총사령관 = 극동미육군사령관
- 에서 해임합니다. 라는 문서가 맥아더에게 전달이 됩니다.
위드원 티스토리 주소 : https://pwj55000.tistory.com
- 이로써 맥아더는 군인에서 민간인이 됩니다.
- 1964.04.05. = 맥아더는 워싱턴 D. C에서 85세의 일기로 서거를 하십니다.
'교육, 역사, 사회, 상식, 깨달음, 알라차리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진핑 중국 주석의 성장 과정, 독재자 과정, 인생 그리고 문제점 (1) | 2024.07.24 |
---|---|
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출생, 군대 생활, 정치 이력과 독재자 인생 (1) | 2024.07.22 |
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 전후 사정과 6.25 전쟁, 반격 기회 마련 (0) | 2024.07.22 |
MZ세대가 만드는 신조어의 원리, 과정 그리고 언어의 역사성 (0) | 2024.07.21 |
계백장군의 정체, 황산벌 싸움과 관창, 백제의 멸망과 묘소, 사당 (0) | 2024.07.19 |